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The Analects of Confucius67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2편 爲政 (위정) - 열네 번째 구절 子曰: 「君子 周而不比, 小人 比而不周」 안녕하세요, 여러분! 😊 오늘은 논어 제2편 14장을 통해 군자와 소인의 인간관계 방식의 차이를 배워보겠습니다. 누군가와 관계를 맺을 때 우리는 무의식중에 편을 가르기도 하고, 때로는 모두와 원만히 지내려 하기도 하죠. 오늘 공자의 말씀을 통해 올바른 관계 맺기에 대해 성찰해봐요. 📋 목차 오늘의 논어 한 구절 📜 구절의 의미와 해석 🧐 생활 속 .. 2025. 4. 13.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2편 爲政 (위정) - 열세 번째 구절 子貢 問君子。子曰: 「先行其言 而後從之。」 안녕하세요, 여러분! 😊 오늘 함께 배울 구절은 논어 제2편 13장, 자공이 군자에 대해 질문하자, 공자가 “말보다 먼저 행동하라”고 강조한 장면이에요. 멋진 말보다는 진정성 있는 행동이 중요하다는 이 고전의 지혜는 지금 우리 삶에도 꼭 필요한 메시지랍니다. 📋 목차 오늘의 논어 한 구절 📜 구절의 의미와 해석 🧐 생활 속 적용 방법 💡 .. 2025. 4. 12.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2편 爲政 (위정) - 열두 번째 구절 子曰: 「君子 不器」 안녕하세요, 여러분! 😊 오늘은 논어 제2편 12장을 통해 공자가 군자의 존재 의미와 깊이를 어떻게 정의했는지 배워볼게요. 단순히 기능이나 역할에만 머무르지 않고,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며 더 넓은 시야를 지닌 사람, 그것이 바로 공자가 말하는 ‘군자’라는 점, 함께 살펴보아요. 📋 목차 오늘의 논어 한 구절 📜 구절의 의미와 해석 🧐 생활 속 적용 방법 💡 .. 2025. 4. 11.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2편 爲政 (위정) - 열한 번째 구절 子曰: 「溫故而知新,可以為師矣」 안녕하세요, 여러분! 😊 오늘은 논어 제2편 11장을 통해 공자가 말하는 배움의 진정한 가치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단순히 새로운 지식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의 배움을 돌아보며 거기서 새로운 통찰을 얻는 것, 그것이 바로 진짜 배움이라는 공자의 지혜, 기대되시죠? 📋 목차 오늘의 논어 한 구절 📜 구절의 의미와 해석 🧐 생활 속 적용.. 2025. 4. 10.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2편 爲政 (위정) - 열 번째 구절 子曰: 「視其所以, 觀其所由, 察其所安, 人焉廋哉? 人焉廋哉?」 안녕하세요, 여러분! 😊 오늘은 논어 제2편 10장을 통해 ‘사람을 보는 눈’에 대해 공자가 남긴 지혜를 함께 배워보겠습니다. 겉모습이나 말이 아니라, 그 사람의 행동, 동기, 마음이 머무는 곳을 살펴보라는 말, 요즘 사회에서도 너무나 필요한 조언이죠! 📋 목차 오늘의 논어 한 구절 📜 구절의 의미와 해석 🧐 생활 속.. 2025. 4. 9.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2편 爲政 (위정) - 아홉 번째 구절 子曰: 「吾與回 言終日 不違如愚。 退而省其私,亦足以發。 回也不愚。」 안녕하세요, 여러분! 😊 오늘 함께 배울 구절은 논어 제2편 9장으로, 공자가 가장 아꼈던 제자 ‘안회(顔回)’에 대한 이야기에요. 공자는 안회를 두고 겉으로는 말이 없고 순종적인 것 같지만, 실제로는 깊이 배우고 있는 인물이라며 칭찬했어요. 조용히 실천하는 태도의 중요성을 다시금 느낄 수 있는 구절이에요! 📋 목차 오늘의 논어 한 구절 📜 구절의 의미와 해석 🧐 .. 2025. 4. 8.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2편 爲政 (위정) - 여덟 번째 구절 子夏 問孝 子曰: 「色難。 有事 弟子服其勞。 有酒食 先生饌。 曾是以為孝乎?」 안녕하세요, 여러분! 😊 오늘은 논어 제2편 8장에서 공자가 자하의 질문에 답한 내용을 통해 효도의 태도와 진심의 중요성을 배워볼게요. 단지 부모님을 위해 일하고 음식을 챙기는 것이 효가 아니라, 그 안에 담긴 ‘공손한 태도’와 ‘정성’이 핵심이라는 공자의 통찰을 만나보실 수 있어요. 📋 목차 오늘의 논어 한 구절 📜 구절의 의미와 해석 🧐 .. 2025. 4. 7.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2편 爲政 (위정) - 일곱 번째 구절 子游 問孝 子曰: 「今之孝者 是謂能養。 至於犬馬 皆能有養。 不敬 何以別乎?」 안녕하세요, 여러분! 😊 오늘은 논어 제2편 7장을 함께 공부해보려 해요. 이번 구절에서 공자는 제자 ‘자유(子游)’가 묻는 ‘효’의 진짜 의미를 짚어주며 단순히 먹이고 입히는 것만이 효가 아님을 일깨워줍니다. 부양(供養)은 누구나 할 수 있지만, 그 안에 ‘존경심’이 없다면 인간다운 효가 아니다는 아주 깊은 철학이 담겨 있죠. 📋 목차 오늘의 논어 한 구절 📜 구절의 의미와 해석 🧐 .. 2025. 4. 6.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2편 爲政 (위정) - 여섯 번째 구절 孟武伯 問孝 子曰: 「父母 唯其疾之憂。」 안녕하세요, 여러분! 😊 오늘은 논어 제2편 6장의 짧지만 강력한 가르침을 함께 배워볼게요. 이번 구절에서 공자는 ‘효’란 부모의 병을 걱정하게 만들지 않는 것이라 말해요. 단순히 부모에게 잘하는 것만이 효가 아니라, 자신이 어떻게 사느냐가 부모의 걱정이 되지 않는 것이 진짜 효도임을 깨닫게 되는 구절이에요. 📋 목차 오늘의 논어 한 구절 📜 구절의 의미와 해석 🧐 .. 2025. 4. 5.
반응형